1. 판매작품 : 북한유화 20점, 조선화 5점
2. 전시·판매기간 : 2025년 5월 26일 ~ 6월 8일 (2주간)
3. 구매문의 : 010-4432-4676
4. Email : rheo343@naver.com
북한 유화 20점
1. 작품번호 : 1015
작가 : 강훈영
제목 : 금강산아침
크기 : 62x56
제작 : 미 상
가격 : 80만원
강훈영 (1935- ) 약력
-평안북도 구성시에서 출생
-1954년 평양미술대학입학/1960년 졸업
-1960년-1986년까지 평양미술대학 교원
-1986년 이후 조선화학부강좌장, 명화가 양성을 위한 특설학부강좌장
-1964년 '재봉대원'으로 국가미술전람회 2등상 수상
-1980년 공훈예술가
-1987년에 부교수학직 수여
-1997년에 인민예술가
* 대표작 유화 '예술인전신'(124x96cm)은 3년간의 고심 끝에 1996년에 완성된 세화적 기법의 그림으로 묘사의 공백도 없이 치밀한 방법으로 제시된 모든 요소들을 형태와 부분, 색과 질감까지도 높은 묘사력을 보여준 작품으로 김정일 위원장의 과분한 치하를 받은 작품이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01쪽 인용)
2. 작품번호 : 1019
작가 : 고영근
제목 : 구월산 가을
크기 : 95x65
제작 : 2007년
가격 : 100만원
고영근 (1953 - ) 약력
-1953년 함경남도 함흥시에서 출생
-1977년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 졸업
-대학졸업 후 만수대창작사에서 조선화창작단 창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1995년 공훈예술가
-수십 점의 영상작품과 주제화작품을 국가미술전람회에 출품하여 입선하였다.
* 그는 창작적 구상력이 좋고 구체적이고 섬세한 형상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미술가이다.
* 만수대창작사에서 25년 동안 작품활동을 하면서 <평양의 환호>, <봄비> 등의 대표작을
국가보존작품으로 지정받아 조선미술박물관에 영구소장시킨 중견화가이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81쪽 인용)
3. 작품번호 : 1029
작가 : 김광룡
제목 : 산촌의 아침
크기 : 145x97
제작 : 2000년
가격 : 240만원
김광룡 (1949 - 작고) 약력
-1949년 평양시에서 출생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를 졸업
-졸업이후 모교에서 교원으로 창작활동을 계속하다가, 숙환으로 2004년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4. 작품번호 : 1035
작가 : 김린권
제목 : 동해바다
크기 : 86x59
제작 : 2000년
가격 : 100만원
김린권 (1925 - 2004) 약력
-1925년 함경남도 인흥군에서 출생
-1938년부터 10년간 흥남비료공장에서 노동자로 일하였다
-1948년 평양미술대학 전문학교에 입학
-1951년 구소련 레닌그라드 레핀미술대학에서 6년간 미술공부를 하였다.
-1957년 귀국하여 문화선전성 지도원
-1964년-1982년 조선미술가동맹 영화 및 미술분과 위원장
-1965년 정종여와 함께 조선미술박물관에서 2인 전람회를 가졌다.
-1978년 공훈예술가
-1983년-1994년 문학예술작품 심사위원
-2004년 작고할 때까지 송화미술원 서기장으로 있었다.
-2004년 작고
5. 작품번호 : 1039
작가 : 김만형
제목 : 가을들판
크기 : 61x28
제작 : 미 상
가격 : 100만원
김만형 (1916-1984) 약력
- 경기도 개성시에서 출생
- 1929년 경성 제1 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34년 일본 제국미술학교에 입학.
- 선전(鮮展) 16회(1937년)~22회까지 6점이 입선, 23회는 '언덕'으로 특선
- 1939년 졸업 후 집안이 파산하여 화신백화점/광산에서 일을 하였다.
- 1946년 남조선미술동맹 서기장
- 1949년 제 1회 국전 추천작가
- 1952년 조선미술가동맹 평안북도 지부장
- 1958년 조선미술가동맹 유화분과 지도원
- 1984년 작고
* 김만형은 다양한 주제의 작품들을 비롯하여 비교적 폭이 넓고 정서가 깊은 풍경화들을 많이 창작하였다. 그는 사상적으로 좌익을 신봉한 화가로서 풍경화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여 웅장한 느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325-328쪽 인용)
6. 작품번호 : 1043
작가 : 김민구
제목 : 옥류동 계곡
크기 : 52x36
제작 : 1987년
가격 : 100만원
김민구 (1922-작고) 약력
-강원도 원산시에서 출생
-1937년 단신으로 일본 미술학교에서 1년간 훈련과정을 거쳐 입학했다.
-1941년 선전(鮮展) 20회에 입선하는 등 1944년까지 8점의 작품을 완성하여 선전(鮮展)에 출품했다.
-1945년 일본에 강제로 징용되어 북해도 광산에 끌려가 강제노역을 했다.
-종전 후 귀국하여 조선미술가동맹 강원도위원회 위원장으로 18년간 활동했다.
-195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초원'으로 1등상 수상
-작고년도 미상
* 1970년에 그린 '백두산천지'는 미술작품에서 처음으로 백두산천지의 진경이 전경화식으로 전개된 구도속에 펼쳐지게 되었다.
* 김민구는 황헌영과 더불어 풍경화를 전문으로 그리는 미술가이며, 풍경화가로서 독자적인 개성이 있는 우수한 미술가이다. 그의 그림은 폭이 크고 무게가 있으며 깊이 있는 남아다운 성격이 뚜렷하다고 인정받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417-419쪽 인용)
7. 작품번호 : 1050
작가 : 김상훈
제목 : 풍양리
크기 : 97x61
제작 : 1990년
가격 : 150만원
김상훈 (1933 - 2017) 약력
-1933년 3월 평안북도 동창군에서 출생
-1961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교원, 강좌장으로 활동하였다.
-1961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여성영웅광부'로 2등상 수상
-1963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생의 노래'로 2등상 수상
-196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긍지'로 2등상 수상
-1982년 부교수
-1989년 학사학위
-1991년 평양 국제문화회관에서 130여점을 가지고 개인미술전람회를 가졌다.
-1996년 중국 연변에서 40여점을 가지고 미술작품전시회를 가졌다
-1997년 인민예술가
-2017년 작고
8. 작품번호 : 1147
작가 : 리정찬
제목 : 바다노을
크기 : 65x91
제작 : 2007년
가격 : 150만원
리정찬 (1948 - ) 약력
-1948년 평양에서 출생
-1978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대학졸업 후 백호창작사에서 25년간 창작생활을 하면서 여러 형식의 미술창작사업에 관여했다.
-1997년 공훈예술가
* 리률선, 박진수로부터 미술교육을 받았고, 전통에 기초하면서 강한 색의 대조, 명암처리로 필체가 활달하고 색채형상을 다양하게 구사한 특기를 가지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60쪽 인용)
9. 작품번호 : 1187
작가 : 박래천
제목 : 금강산 가을
크기 : 165x65
제작 : 2002년
가격 : 720만원
박래천 (1936 - 2017) 약력
-1936년 11월 전라북도 금산군에서 출생하여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고급중학교 졸업
-1963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40여년간 출판화 학부교원, 강좌장으로 계속활동하였다.
-196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모든 지역 모든 전선'으로 입상
-1985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30만정보의 날바다'로 입상
-198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기적소리'로 입상(대표작품)
-1991년 공훈예술가
-1994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탄광에 더 많은 갱목을'로 입상
-1998년 인민예술가
-2017년 작고
* 박래천의 유화는 구도적으로는 대각선상에 기본 묘사 대상을 설정하고 검붉은 색의 강렬한 색계조로 직관적 표현력을 강조해 준다. 박래천은 2000년 전후 북한 최초로 유화에 몰골기법을 적용하여 독창적인 조형기법을 완성하여 북한 미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박래천은 몰골화 기법을 유화에 적용하여 자기만의 새로운 화법으로 독창적이고 개성이 넘치는 아름다운 그림으로 북한 최고의 명화가로 평가받고 있으며, 지난 35년에 걸치는 후대 교육사업을 통하여 재능 있는 많은 선전화가들을 키워내는데 기여하였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17쪽 인용)
10. 작품번호 : 1224
작가 : 서대무
제목 : 금강문
크기 : 90x60
제작 : 2002년
가격 : 200만원
서대무 (1940 - ) 약력
-1940년 평안북도 구장군에서 출생
-1964년 평양미술대학 졸업이후 34년간 만수대창작사 벽화창작단 창작가
-1973-1975년 서대무가 초안하고 주창작한 평양지하철도 준공식에서 김일성 주석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음.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73쪽 인용)
-1975년 공훈예술가
-2002년 인민예술가
11. 작품번호 : 1290
작가 : 정영화
제목 : 고향집 황소
크기 : 152x98
제작 : 2001년
가격 : 900만원
정영화 (1948 - ) 약력
-1948년 11월 함경북도 무산군에서 출생하여 강원도 평강군에서 고급중학교 졸업
-1977년 평양미술대학 산업미술학부졸업 후 중앙미술창작사 창작가/단장으로 활동
-1983년 전국선전화전람회 1등상
-1988년 국제미술전람회 2등상
-198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아침'으로 1등상
-1989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저녁'으로 2등상
-1991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남북서화전시회에서 북측대표로 참석
-1992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땅과 전사'로 1등상
-1992년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음
-1993년 전국선전화전람회에서 1등상
-1994년 전국선전화전람회에서 금메달
-1999년 문예총중앙위원회 위원/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 그의 그림은 농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인상 깊은 생활의 한 순간을 전형적인 환경과 생활세부에 담아 집중시켜 새롭게 창조함으로써 사람들에게 깊은 추억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63-765쪽 인용)
12. 작품번호 : 1314
작가 : 최명식
제목 : 금강다리
크기 : 59x75
제작 : 1999년
가격 : 80만원
최명식 (1950 - ) 약력
- 1950년 9월 황해남도 해주시에서 출생
- 1978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졸업
- 졸업후 만수대창작사 유화단에서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 1994년 공훈예술가
- 그는 간결한 구도와 강한 색대조에 맞는 발랄한 필치가 특기이며, 수년간에 겨쳐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창작활동으로 해외에 널리 알려져 있다.
- 율동적인 인물화와 조선범의 대가로 알려져 있다.
13. 작품번호 : 1321
작가 : 최재덕
제목 : 여인
크기 : 37x50
제작 : 1955년
가격 : 80만원
최재덕 (1916 - 1973) 약력
-경상남도 산청군에서 출생
-1936-1940년 선전(鮮展) 15회, 18회, 19회(2점)등 4점이 입선되었다.
-1938년 일본 태평양미술학교 졸업
-1948년 정현웅, 김만형, 리쾌대 등과 함께 좌익미술단체를 조직
-1949년 제1회 대한민국 국전에 작품 '산'으로 추천작가로 참여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월북
-1958년 용광로(88x125), 1961년 사과따는 처녀(40호)는 공간적 깊이와 색채의 풍부성, 그리고 센 붓질은 화가의 개성적인 창작능력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1973년 작고
14. 작품번호 : 1325
작가 : 최정욱
제목 : 조선범
크기 : 118x82
제작 : 2002년
가격 : 300만원
최정욱 (1948 - ) 약력
-1948년 함경북도 청진시에서 출생
-1974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1974~1993년 평양미술대학 교원, 강좌장으로 활동하였다.
-1994년 이후 만수대창작사 창작가
-1995년 국제미술전람회에 북측대표 단장으로 참가
-1996년 예술학 학사
-1997년 김정일 국방위원장 표창
-1998년 공훈예술가
-1997년에 창작된 '조선범'과 '사자'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으로부터 칭찬을 받은 작품으로 국보작품으로 보관전시중이다.(조선력대미술가편람 765쪽 인용)
15. 작품번호 : 1330
작가 : 최제남
제목 : 압록강2천리
크기 : 77x56
제작 : 2001년
가격 : 80만원
최제남 (1934-2015) 약력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출생
-1951년 평양미술대학 입학해서 한상익으로 부터 그림수업을 받았다.
-1952년 모스크바 방직대학 장식미술학부에서 5년간 미술수업을 받았다.
-1957년에 귀국하여 평양미술대학 교원, 강좌장, 교무부학장, 과학부학장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그는 교육행정사업과 국가학위학직 심의사업, 대외사업 등으로 하여 창작적 작품형상을 보여줄 기회를 얻지 못했다.
-1980년 부교수
-1981년 학사학위
-1986-1994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집행위원, 문예총 중앙위원회 위원, 범민련 북측본부 중앙위원, 미술부문국가심의위원회 위원
-1986-1995년 중앙미술창작사 사장
-1998년 조각가 곽태영과 함께 평양국제문화회관에서 2인 전람회를 가졌다.
-2015년 작고
16. 작품번호 : 1338
작가 : 최하택
제목 : 금강산 만물상
크기 : 322x152
제작 : 2002년
가격 : 1,800만원
최하택 (1946 - ) 약력
- 1946년 5월 평안북도 신의주시에서 출생
- 1968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 졸업
- 1997년부터 만수대창작사 유화단장
- 1977년 공훈예술가
- 1997년 인민예술가
-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집행위원이며, 국가작품심의위원회 종합심의원
* 그의 작품은 유화의 표현적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살려 입체성과 공간감을 주고, 대상의 색체와 질감을 예리하게 표현한 것은 미술작품으로서의 직관성과 풍부한 조형미를 돋구어내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42쪽 인용)
17. 작품번호 : 1348
작가 : 한상익
제목 : 련주담가을
크기 : 36x60
제작 : 1967년
가격 : 400만원
한상익 (1917 - 1997) 약력
-1917년 함경남도 함주군에서 출생
-1939년 동경미술학교에 입학. 1943년 군사훈련교관과 모욕을 당한후 중퇴
-1943년 선전에서 '청년'으로 입선, 1944년 선전에서 '가을의 작물'로 특선
-1947년 제1차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단강도'로 김일성표창장 수상
-1950-1955년 평양미술대학 교원
-1955-1971년 조선미술가동맹 함경남도와 강원도 현역미술가
-1997년 작고
* 1970년 53세에 결혼한 한상익은 안해(아내)의 도움으로 이후 10여년 간 200여점에 달하는 금강산과 원산의 이름있는 곳들을 낱낱이 그린 주옥같은 작품들은 한상익의 창작을 총화자울 수 있는 귀중하고 의의있는 작품들이기도 하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364쪽 인용)
* 1991년 4월 만수대창작사를 방문한 김일성은 한상익의 창작을 극찬한 교시를 하였다.
* 1992년 국제문화회관에서 생애를 총화짓는다고 말할 수 있는 개인미술전람회를 여는 날 안해와 14살난 딸애는 허리까지 굽기 시작한 한상익의 주름잡힌 얼굴이 때없이 밝아지고 20년은 더 젊어보여 졌다고 기뻐 말하였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364쪽 인용)
* 북한화단에서 유별난 생활경로와 특이한 창작적 개성으로 하여 성과작도 많았고, 실패작도 많았던 한상익은 추억깊은 화가로, 지울수 없는 화가로 인민의 사랑을 받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361~365쪽 인용)
* 그의 작품은 우리나라 화랑에서 최고가의 북한 화가작품으로 거래되고 있다.
18. 작품번호 : 1352
작가 : 한태순
제목 : 접선봉
크기 : 88x64
제작 : 1998년
가격 : 80만원
한태순 (1937 - ) 약력
-1937년 평양시에서 출생
-1965년 평양미술대학 출판화과 졸업
-1965-1974년 조선미술가동맹 현역미술가
-1974년 이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 교수로 활동
-1987년 공훈예술가
19. 작품번호 : 1368
작가 : 홍종원
제목 : 개성관덕정
크기 : 130x89
제작 : 2002년
가격 : 300만원
홍종원 (1928 - 2004) 약력
1928년 경기도 인천시에서 출생. 1948년 당시 홍익대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던 배운성의 도움으로 홍익대학 미술과에 입학하여 고학으로 학교를 다녔다. 6.25전쟁시기에는 월북하여 인민군으로 참전했고, 전후 화가로 있으면서 북한에서는 처음으로 김일성초상화를 형상화하여 김일성광장에 전시했다. 그의 아내 변옥림은 같은 홍익대 학생으로 전쟁 중에 홍종원과 함께 월북했다.
-1928년 12월 경기도 인천시에서 출생
-1948년 홍익대학 유채학부 입학
-한국전쟁 당시 홍익대학 미술학부에 같은 학생이였던 아내 변옥림과 함께 월북
-2004년 작고
* 그는 처녀작 '돌다리자국'을 그려 북한 전승기념관에 전시되는 영광을 얻었고, 현재 김일성 광장에 전시되어 있는 대형 김일성초상화를 그려 북한 최초로 김일성을 형상화하였다.
* 그는 국가미술전람회에 수차에 거쳐 출품하여 수상하였으며, 수십 점이 조선미술박물관과 조선력사박물관에 전시/보관되어 있다.
* 1993년 9월 북한미술박물관에서 북한 최초로 성대하게 가족미술전람회를 열었다.
20. 작품번호 : 1377
작가 : 황태년
제목 : 성균관 가을
크기 : 72x60
제작 : 1994년
가격 : 500만원
황태년 (1927 - 1996) 약력
-1927년 제주도 구좌면에서 출생
-1945년 이후 청진제강소, 함경북도 미술제작소에서 1954년까지 미술활동
-1954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바다의 환호'로 2등상 수상
-1955년 조선미술가동맹 함경북도 위원회 현역미술가
-1963년 조선미술가동맹 개성시위원장
-1970년 이후 조선미술가동맹중앙위원회 위원으로 미술작품국가심의위원회 위원
-1989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성균관의 가을'로 2등상 수상
-1990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끊어진 혈맥을 잇자!'로 2등상 수상
-1991년 200여점의 작품을 가지고 조선미술박물관에서 개인미술전람회를 가졌다.
-창작공로로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1996년 작고
조선화 5점
1. 작품번호 : 2101
작가 : 선우영
제목 : 칠보산 이선암
크기 : 92x58
제작 : 1999년
가격 : 250만원
선우영 (1946-2009) 약력
-1946년 평양시에서 출생
-1969년 평양미술대학 산업미술학부 졸업
-1969-1972년 중앙미술창작사 창작가
-1972-2009년 만수대창작사에서 창작활동을 하다가 2009년에 사망했다.
-1987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장군님의 뜻을 안고'로 1등상 수상
-1989년 공훈예술가
-1992년 인민예술가
-2009년 작고
* 진채세화의 대가로서 그의 특징은 “거의 모든 풍경화에서 중경과 원경에 놓여있는 대상들의 묘사보다 구체적인 것이다. 큰 것을 위하여 부분적인 것의 생략과 같은 일반적인 논리가 아니고, 오히려 큰 것을 위하여 부분적인 것을 더 파고들어야 한다“라고 선우영은 주장하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48쪽 인용)
* 그가 창작한 ‘금강산석가봉’과 ‘범’은 세화기법으로 그린 조선화중에서 가장 우수한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47쪽 인용)
2. 작품번호 : 2221
작가 : 정영만
제목 : 금강산 여름
크기 : 129x68
제작 : 1997년
가격 : 800만원
정영만 (1938 - 1999) 약력
1938년 강원도 원산시 명석동 출생
1962년 평양미술대 졸업
1966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집행위원
1974년 공훈예술가
1978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 2.16장작실장
1979년 인민예술가
1989년 만수대창작사 창작부사장, 김일성상 수상
1990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1991년 로력영웅칭호 수여
1997년 2중로력영웅칭호 수여
1999년 6월 17일 작고
* 1973년부터 15년 동안 만수대창작사 창작실에서 정영만과 함께 창작생활을 했던 선우영(인민예술가, 2009년 작고)은 정영만에 대해 다음과 같은 소감을 말하고 있다.
금강산 일만 이천 봉우리들의 특징은 물론 개별적 바위들의 생김새 그리고 동석동골 안으로 흘러드는 아침 안개로부터 관음련봉 사이를 감돌아 질주하는 구름안개에 이르기까지 금강산의 기상과 특징들을 창작한 정영만 동지의 금강산 작품들은 그 생동성과 진실성으로 하여 우리들을 탄복하게 하였다. 참으로 정영만동지의 자연에 대한 목적 지향적이고 사색적인 관찰은 우리가 배워야 할 좋은 기풍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정영만과 그의 창작‘,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2000년 간행, 131-133쪽에서 인용)
3. 작품번호 : 2228
작가 : 정종여
제목 : 양계장
크기 : 64x97
제작 : 1979년
가격 : 300만원
정종여 (1914-1984) 약력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면에서 가난한 농민의 둘째 아들로 출생, 호는 청계(靑谿)
- 1933년 일본 오사카미술학교 입학, 1940년 졸업
- 1936년~1944년 선전(鮮展)에서 입선 6회, 특선 2회
- 1951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 1952년부터 10년간 평양미술대학 조선화강좌교원, 강좌장
- 1953년 이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집행위원
- 1955년 '굴진'으로 국가미술전람회 1등상
- 1956년 '5월의 농촌'으로 국가미술전람회 1등상
- 1958년 '고성인민들의 전선원호'로 국가미술전람회 1등상
- 1961년 이후부터 문예총중앙위원회 위원
- 1974년 공훈예술가
- 1982년 인민예술가
- 1978년 이후 동맹현역미술가로 만수대창작사 조선화단 미술가로 활동
- 1984년 작고
4. 작품번호 : 2256
작가 : 차재렵
제목 : 향산의 옛절터
크기 : 96x85
제작 : 1991년
가격 : 80만원
차재렵 (1948- ) 약력
-1948년 평양시 중구역에서 출생
-1971년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 졸업
-1971~1986 조선력사박물관 미술가, 문화보존총국 미술창작실 창작가
-1987년 평양 중앙미술창작사 조선화창작단 창작가
-1989~1995년 중국과 러시아에서 창작활동
-2001년 공훈예술가
5. 작품번호 : 2265
작가 : 최계근
제목 : 산촌의 아침
크기 : 96x60
제작 : 1997년
가격 : 150만원
최계근 (1942- ) 약력
-1942년 남포시에서 출생
-강선제철소에서 일하면서 현지파견미술가 송찬형에게서 그림을 배웠다.
-1959년 평양미술대학 입학
-1966년 그의 졸업 작품 '강철의 전사들(232x143cm)'은 제9차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김일성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아 그의 출세작이 되었다.
-1966-1974년 조선미술가동맹 현역미술가,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 단장
-1974년 공훈예술가
-1989년 인민예술가
-1994년 조선미술가동맹 위원장
-1996년 미술작품국가심의위원회 위원장
-1999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과 집행위원
-인민예술가로 수예가인 공정옥이 그의 아내이다.
* 최계근은 비교적 복잡한 다인물구상처리에서 각이한 인물들의 개성적 성격을 잘 묘사하고 있다. 소묘가 확고하고 인물들의 각이한 행동성격에 대한 표현력도 비교적 높은 수준에 있다. 색에 대한 감각도 있고 화면에서 색채통일도 잘 보장하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02쪽 인용)
'정기 전시 판매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료) 2025년 제84회 전시판매전 (5/12-5/25) (0) | 2025.05.09 |
---|---|
(종료) 2025년 제83회 전시판매전 (4/28-5/11) (0) | 2025.04.27 |
(종료) 2025년 제82회 전시판매전 (4/14-4/27) (1) | 2025.04.13 |
(종료) 2025년 제81회 전시판매전 (3/31-4/13) (0) | 2025.03.29 |
(종료) 2025년 제80회 전시판매전 (3/17-3/30)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