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기 전시 판매전

(종료) 2025년 제80회 전시판매전 (3/17-3/30)

1. 판매작품 : 북한유화 17점, 조선화 15점

2. 전시·판매기간 : 2025년 3월 17일 ~ 3월 30일 (2주간)

3. 구매문의 : 010-4432-4676

4. Email : rheo343@naver.com


북한 유화 17점

1. 작품번호 : 1025

작가 : 김광룡

제목 : 바닷가

크기 : 97x63

제작 : 2000

가격 : 

 

 

김광룡 (1949 - 작고) 약력

-1949년 평양시에서 출생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를 졸업

-졸업이후 모교에서 교원으로 창작활동을 계속하다가, 숙환으로 2004년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2. 작품번호 : 1051

작가 : 김상훈

제목 : 대동강변

크기 : 96x63

제작 : 1996

가격 : 

 

 

 

김상훈 (1933 - 2017) 약력

-1933년 3월 평안북도 동창군에서 출생

-1961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교원, 강좌장으로 활동​​하였다.

-1961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여성영웅광부'로 2등상 수상

-1963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생의 노래'로 2등상 수상

-196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긍지'로 2등상 수상

-1982년 부교수

-1989년 학사학위

-1991년 평양 국제문화회관에서 130여점을 가지고 개인미술전람회를 가졌다.

-1996년 중국 연변에서 40여점을 가지고 미술작품전시회를 가졌다

-1997년 인민예술가

-2017년 작고


3. 작품번호 : 1057

작가 : 김성예

제목 : 북방의 겨울

크기 : 88x65

제작 : 2000

가격 : 

 

김성예 (1957 - ) 약력

-1957년 평양시 모란봉구역에서 출생

-1982년 평양미술대학 유화과졸업

-1982년 삼지연창작사 창작가

-1990년 철도미술창작사(1급)

-공훈예술가(수여년도 미상)


4. 작품번호 : 1099

작가 : 라병주

제목 : 수림풍경

크기 : 88x58

제작 : 1999

가격 : 

 

라병주 (1942- ) 약력

- 1942년 평양시 모란봉구역에서 출생

- 1972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 유화과졸업

- 1973년 이후 만수대창작사 창작가

- 1987년 이후 목란창작사 창작가, 문예총 중앙위원회 미술가

- 1988년 러시아미술전시회, 1989년 불가리아 국제미술전람회, 그리고 일본과 중국에서 진행된 국제미술전시회에서 우수한 미술가로 평가받아왔다.

 

* 대표작으로 조선화 '은하리쳐녀들', 유화 '청산리 이른 새벽', '포도', '리명수에서' 등이 있으며, 30여점의 국보작품을 창작하여 보존되어 있다.

* 명화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5. 작품번호 : 1110

작가 : 류정봉

제목 : 상팔담 달밤

크기 : 115x140

제작 : 2002

가격 : 

 

류정봉 (1942 - ) 약력

 

-1942년 2월 평양시에서 출생

-1967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모교에서 유화강좌 교원으로 활동​​

-평양미술대학 박사원(4년)졸업 후 구 소련에서 미술활동을 하였다. ​

-1974년 아프리카 잠비아 미술고문으로 활동했다.

-1991년 공훈예술가

-그는 '유화의 채색원리'에 대한 론문을 집필하여 예술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 그의 처는 혁명가극 '금강산의 노래'의 주인공역을 한 공훈배우 림춘영이며, 그의 조카 김동환은 로력영웅이자 인민예술가이다.

 

* 1995년에 제작된 '금강산 상팔담의 달밤'은 진지한 창작태도를 가지고 색채의 조형미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화가의 탐구정신을 충분히 엿보게 하며 그의 창작적 개성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99-700쪽 인용)


6. 작품번호 : 1145

작가 : 리정찬

제목 : 바다갈매기

크기 : 93x62

제작 : 2007

가격 : 

 

리정찬 (1948 - ) 약력

-1948년 평양에서 출생

-1978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대학졸업 후 백호창작사에서 25년간 창작생활을 하면서 여러 형식의 미술창작사업에 관여했다.

-1997년 공훈예술가

 

* 리률선, 박진수로부터 미술교육을 받았고, 전통에 기초하면서 강한 색의 대조, 명암처리로 필체가 활달하고 색채형상을 다양하게 구사한 특기를 가지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60쪽 인용)


7. 작품번호 : 1190

작가 : 박래천

제목 : 련주담

크기 : 196x76

제작 : 2001

가격 : 

 

박래천 (1936 - 2017) 약력

 

-1936년 11월 전라북도 금산군에서 출생하여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고급중학교 졸업

-1963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40여년간 출판화 학부교원, 강좌장으로 계속활동하였다.

-196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모든 지역 모든 전선'으로 입상

-1985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30만정보의 날바다'로 입상

-198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기적소리'로 입상(대표작품)

-1991년 공훈예술가

-1994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탄광에 더 많은 갱목을'로 입상

-1998년 인민예술가

-2017년 작고

 

* 박래천의 유화는 구도적으로는 대각선상에 기본 묘사 대상을 설정하고 검붉은 색의 강렬한 색계조로 직관적 표현력을 강조해 준다. 박래천은 2000년 전후 북한 최초로 유화에 몰골기법을 적용하여 독창적인 조형기법을 완성하여 북한 미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박래천은 몰골화 기법을 유화에 적용하여 자기만의 새로운 화법으로 독창적이고 개성이 넘치는 아름다운 그림으로 북한 최고의 명화가로 평가받고 있으며, 지난 35년에 걸치는 후대 교육사업을 통하여 재능 있는 많은 선전화가들을 키워내는데 기여하였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17쪽 인용)


8. 작품번호 : 1243

작가 : 유흥섭

제목 : 압록강

크기 : 66x48

제작 : 1998

가격 : 

 

유흥섭 (1934 - ) 약력

 

-1934년 함경북도 라진시에서 출생

-1955년-1960년 평양미술대학 무대미술학부 졸업

-1963년 조선인민군협주단 미술가, 창작부 미술실장으로 30여년간 복무하면서 주로 가극 무대미술 그리고 일련의 주제미술작품들을 창작하였다.

-1970년 '조선의 예술은 살아있소'(262x174cm) 작품은 김정일위원장으로부터 극찬을 받은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574쪽 인용)

-1973년 공훈예술가 

-1982년 인민예술가

 

* 유흥섭은 무대미술은 물론 유화, 조선화 등 회화분야에서도 높은 소묘력과 조형형상능력을 소유한 다재다능한 미술가이다.


9. 작품번호 : 1255

작가 : 윤자선

제목 : 꽃정물

크기 : 50x34

제작 : 1956

가격 : 

 

윤자선 (1918-작고) 약력

-서울시 종로구에서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1938년 제2 공립고등보통학교 ,1942년 일본 제국미술학교를 졸업했다.

-1940년 제19회 선전(鮮展)에서 '자화상'으로 입선

-1945년 해방이후 숙명여중, 경기상업, 경동중학교에서 미술교사를 했다.

-한국전쟁시기에 월북하여 조선미술가동맹 현역미술가

-전후에는 평양건설대학 미술교원으로 창작과 미술교육을 하였다.

-작고년도 미상

 

* 윤자선은 기초가 튼튼하고 색채형상기량이 일정한 높이에 있었기 때문에 그림이 조형성이 있고 미술적으로 수준이 있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375-376쪽 인용)

 


10. 작품번호 : 1270

작가 : 정영화

제목 : 고향집냇가

크기 : 82x69

제작 : 2000

가격 : 

 

정영화 (1948 - ) 약력

 

-1948년 11월 함경북도 무산군에서 출생하여 강원도 평강군에서 고급중학교 졸업

-1977년 평양미술대학 산업미술학부졸업 후 중앙미술창작사 창작가/단장으로 활동​

-1983년 전국선전화전람회 1등상

-1988년 국제미술전람회 2등상 

-198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아침'으로 1등상

-1989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저녁'으로 2등상

-1991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남북서화전시회에서 북측대표로 참석

-1992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땅과 전사'로 1등상

-1992년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음​

-1993년 전국선전화전람회에서 1등상

-1994년 전국선전화전람회에서 금메달

-1999년 문예총중앙위원회 위원/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

 

* 그의 그림은 농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인상 깊은 생활의 한 순간을 전형적인 환경과 생활세부에 담아 집중시켜 새롭게 창조함으로써 사람들에게 깊은 추억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63-765쪽 인용)

 


11. 작품번호 : 1311

작가 : 최동수

제목 : 금강산 봄

크기 : 117x79

제작 : 2000

가격 : 

 

최동수 (1937 - 2013) 약력

 

-1937년 함경북도 청진시에서 출생

-1948년 함경북도 아동미술전람회에서 특등상을 수상

-1954년 평양미술대학 출판화학부에 입학.

-1959-1973년 졸업후 조선우표사, 조선미술가동맹 현역미술가

-1974-1977년 조선미술가동맹 조선화분과 위원장

-1977-1982년 조선미술가동맹 부위원장

-1978년 공훈예술가

-1983-2001년 문화예술부 미술지도국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업미술지도국장

-2001년 이후 송화미술원에서 활동했다.

-2013년 작고


12. 작품번호 : 1328

작가 : 최제남

제목 : 노을비낀 대동강

크기 : 73x55

제작 : 2001

가격 : 

 

최제남 (1934-2015) 약력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출생

-1951년 평양미술대학 입학해서 한상익으로 부터 그림수업을 받았다.

-1952년 모스크바 방직대학 장식미술학부에서 5년간 미술수업을 받았다.

-1957년에 귀국하여 평양미술대학 교원, 강좌장, 교무부학장, 과학부학장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그는 교육행정사업과 국가학위학직 심의사업, 대외사업 등으로 하여 창작적 작품형상을 보여줄 기회를 얻지 못했다.

-1980년 부교수

-1981년 학사학위

-1986-1994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집행위원, 문예총 중앙위원회 위원, 범민련 북측본부 중앙위원, 미술부문국가심의위원회 위원

-1986-1995년 중앙미술창작사 사장

-1998년 조각가 곽태영과 함께 평양국제문화회관에서 2인 전람회를 가졌다.

-2015년 작고


13. 작품번호 : 1341

작가 : 표세종

제목 : 솔섬바위

크기 : 70x60

제작 : 1994

가격 : 

 

표세종 (1929 - 작고) 약력

-전라남도 목포시 남교동에서 출생

-1954년 일본 도쿄 무사시노미술대학을 졸업

-도쿄 조선중고급학교 미술교원으로 있다가 1962년 북한으로 입국

-1962-1982년까지 함경남도 미술창작사 창작실 미술가로 활동하였다.

-1986년 공훈예술가

-작고년도 미상

 

* 그는 창작의 길로 들어선 이후 거의 모든 국가미술전람회, 부분미술전람회에 빠짐없이 작품을 출품했고, 현실의 면모를 구체성을 가지고 사실주의적으로 진실하게 묘사했다. 또한 창작에서 불필요한 기교를 부리거나 형식에 치우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없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503쪽 인용)


14. 작품번호 : 1357

작가 : 홍부운

제목 : 해칠보

크기 : 58x47

제작 : 1989

가격 : 

 

홍부운 (1941-1989) 약력

-1941년 함경남도 신포시에서 출생

-1957년 평양미술대학 전문부에 입학하여, 1964년 회화학부 유채과를 졸업.

-이후 중앙미술창작사와 만수대창작사에서 20여년간 창작생활을 했다.

-1984년 공훈예술가

-대표작 해칠보 형제바위(1987년)는 깊이있는 색조, 능란한 필치로 하여 창작예술적 기량을 충분히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1989년 48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한 불운한 예술가이다.

 

 

 

 


15. 작품번호 : 1363

작가 : 홍성철

제목 : 련주담

크기 : 55x73

제작 : 1982

가격 : 

 

홍성철 (1928 - 1995) 약력

-1928년 함경북도 회령시에서 출생

-1948년 평양미술대학 입학, 1950년 졸업

-1974년 공훈예술가 

-1979년 인민예술가

-1989년 김일성상 수상

-1990년 인민예술가 로익화와 함께 평양국제문화회관에서 2인 미술전람회를 가졌다.

-1995년 작고

 

* 홍성철은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위원, 집행위원, 문예총 중앙위원회위원, 국가작품심의위원회 종합심의위원으로 있었다.


16. 작품번호 : 1369

작가 : 홍종원

제목 : 옥련산가을

크기 : 216x96

제작 : 2003

가격 : 

 

홍종원 (1928 - 2004) 약력

1928년 경기도 인천시에서 출생. 1948년 당시 홍익대에서 교편을 잡고 있었던 배운성의 도움으로 홍익대학 미술과에 입학하여 고학으로 학교를 다녔다. 6.25전쟁시기에는 월북하여 인민군으로 참전했고, 전후 화가로 있으면서 북한에서는 처음으로 김일성초상화를 형상화하여 김일성광장에 전시했다. 그의 아내 변옥림은 같은 홍익대 학생으로 전쟁 중에 홍종원과 함께 월북했다.

 

-1928년 12월 경기도 인천시에서 출생

-1948년 홍익대학 유채학부 입학​​

-한국전쟁 당시 홍익대학 미술학부에 같은 학생이였던 아내 변옥림과 함께 월북

-2004년 작고

 

* 그는 처녀작 '돌다리자국'을 그려 북한 전승기념관에 전시되는 영광을 얻었고, 현재 김일성 광장에 전시되어 있는 대형 김일성초상화를 그려 북한 최초로 김일성을 형상화하였다.

 

* 그는 국가미술전람회에 수차에 거쳐 출품하여 수상하였으며, 수십 점이 조선미술박물관과 조선력사박물관에 전시/보관되어 있다.

 

* 1993년 9월 북한미술박물관에서 북한 최초로 성대하게 가족미술전람회를 열었다.


17. 작품번호 : 1379

작가 : 황헌영

제목 : 총석정노을

크기 : 80x65

제작 : 1989

가격 : 

 

황헌영 (1912-1995) 약력

-1912년 평양시 강남군에서 출생

-가정형편이 비교적 좋아 1932년 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

-선전 11회에서 '아침의 보통문', 18회에서 '창'과 '밭'으로 3점 입선

-1938년 동경 제국미술학교 졸업

-1946년 평양시 미술동맹 부위원장, 북조선 미술동맹 부위원장

-1948-1967년까지 평양미술대학 학부장, 강좌장

-1961년 부교수학직을 수여받았다.

-1969-1995 평안북도에서 창작사업을 했다.

-1995년 작고

 

* 황헌영은 평생 100점을 넘기지 못한 적은 수의 소품들을 내놓았지만 풍경화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개성이 뚜렷하고 풍부한 조형미를 이룩한 미술가이다.

* 평양미술대학 1회 졸업생부터 1960년대 말까지 졸업한 수백명이 그의 지도하에 기초를 닦고 유명한 미술가로 성장시켰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286-289쪽 인용)


조선화 10점

1. 작품번호 : 2011

작가 : 김린권

제목 : 장미꽃

크기 : 160x71

제작 : 1998

가격 : 

김린권 (1925 - 2004) 약력

 

-1925년 함경남도 인흥군에서 출생

-1938년부터 10년간 흥남비료공장에서 노동자로 일하였다

-1948년 평양미술대학 전문학교에 입학

-1951년 구소련 레닌그라드 레핀미술대학에서 6년간 미술공부를 하였다.

-1957년 귀국하여 문화선전성 지도원

-1964년-1982년 조선미술가동맹 영화 및 미술분과 위원장

-1965년 정종여와 함께 조선미술박물관에서 2인 전람회를 가졌다.

-1978년 공훈예술가

-1983년-1994년 문학예술작품 심사위원

-2004년 작고할 때까지 송화미술원 서기장으로 있었다.

-2004년 작고


2. 작품번호 : 2018

작가 : 김상직

제목 : 소나무산수 (8폭 연결)

크기 : 380x133

제작 : 1998

가격 : 

 

김상직 (1934 - 작고) 약력

 

-1934년 4월 함경북도 라진군에서 출생

-로동을 하면서 그림을 배우기 시작하여 20대 때 유화 12점을 국가미술전람회에 출품.

-1961년 27세에 평양미술대학에 입학하여 벽화 수업을 받았고, 대학시절 리석호로부터 다년간 개별지도를 받았으며 1965년에 졸업

-대학졸업 후 평양학생소년궁전 미술교원, 조선미술가동맹, 평양미술대학교원과 강좌장, 중앙미술창작사 창작생활과 후비육성사업을 하였다.

-1977년 벽화 '산전막에 남긴 사랑'으로 국가미술전람회에서 2등상 수상

-1996년 새로 발족한 송화미술원 원장으로 작고하기 전까지 활동했다.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 벽화창작으로 시작된 그의 창작활동은 조선화창작으로 그의 전성기를 보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569쪽 인용)


3. 작품번호 : 2024

작가 : 김성근

제목 : 바다파도

크기 : 131x67

제작 : 2000

가격 : 

김성근 (1945 - ) 약력

 

-1945년 7월 평안북도 천마군에서 출생하여 중등교육을 받고 기계공장에서 로동자로 일했으며 군복무를 거쳐 1971년 만수대창작사에서 창작활동을 시작

-1972-1975년 통신으로 평양미술대학을 졸업

-1986년까지 만수대창작사에서 풍경을 전문으로 그리는 화가였으나

-1987년(42세)부터 파도 그림을 맡아 주동적으로 형상화하여 파도전문가가 되었다. 인민예술가로 김파도라는 별칭도 얻게 되었다.

-1990년 이탈리아에서 진행된 국제수채화경연에서 3등에 당선되었다.

-1991년 공훈예술가

-1993년 그의 대표작 '해금강의 파도(18mx8m)'를 제작했다.

-1994년 김정일로 부터 2차례에 걸쳐 대걸작이라고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98년 인민예술가

 

* 김성근은 바다를 형상화하면서 고요하고 잔잔한 바다가 아니라 부단히 움직이며 변하는 바다, 격랑을 일으키며 솟구치는 파도, 폭풍을 일으키며 광란하는 파도를 형상화하여 시련과 난관을 뚫고 나가는 의지와 신념을 상징하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32쪽 인용)


4. 작품번호 : 2027

작가 : 김성호

제목 : 보통강 겨울

크기 : 96x50

제작 : 2000

가격 : 

김성호 (1944- ) 약력

-1944년 평양시에서 출생

-1968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1969-1973년 중앙미술창작사에서 유화를 그렸고, 그 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에서 조선화를 그렸다.

-그는 국가미술전람회에서 10여점이 입상(금메달과 1~3등) 되었다.

-1989년 공훈예술가 

-1996년 인민예술가 

 

* 김성호는 풍경화에서 추구한 정서는 매우 감성적이다. 그는 주로 아침과 흐린 날 등의 시간적 느낌에서 오는 독특한 정서를 통하여 자연의 미를 부각시키고, 격이 있고 운치가 있는 고상한 형상을 창조하고 있다. 또한 그의 풍경화들에는 짙은 향토적 정서가 깔려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21쪽 인용)


5. 작품번호 : 2042

작가 : 리경남

제목 : 고향의 겨울

크기 : 96x50

제작 : 2000

가격 : 

리경남 (1940 - ) 약력

-1940년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출생

-1968년 평양미술대학 유화과 졸업

-대학졸업 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에서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1985년 공훈예술가

-1997년 인민예술가

-1990년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제12회 세계수채화콩쿠르에서 특등상 수상

-2005년 평양국제문화회관에서 조각가 최웅권과 2인 전을 개최

 

* 리경남은 풍경화창작에서 붓의 특성을 살려 붓질에서 오는 독특한 효과를 재치있게 리용하고 있다. 풍경형상에서 몰골기법을 효과적으로 살려 씀으로써 부드럽고 운치있는 그림을 창조하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74-675쪽 인용)

 


6. 작품번호 : 2065

작가 : 리문길

제목 : 금강산 만물상 (8폭 연결)

크기 : 350x132

제작 : 1999

가격 : 

리문길 (1953- ) 약력

-1953년 청진시에서 출생

-1979년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 졸업

-1979~2001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 창작가

-1997년 공훈예술가

-2002년 이후 문예총중앙위원회 창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리문길은 철학적 깊이가 있고 정서가 있는 조선화들을 창작한 재능있는 창작가이다. 시적이고 필치가 힘있고 아름다운 것으로 하여 재능있는 창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7. 작품번호 : 2067

작가 : 리석호

제목 : 묵산수

크기 : 38x30

제작 : 1964

가격 : 

리석호 (1904-1971) 약력

-號는 일관으로 경기도 안성군에서 서자출신으로 출생하여 학교에 다니지 못했다.

-21세인 1925년에 단신으로 서울에 와서 안중식의 서화협회에 들어갔다.

-1928년 이당 김은호는 자기의 개인화숙에 그를 옮겨놓고 전문적인 지도를 했다.

-1927-1929 선전(鮮展) 서예부 입선

-1934-1944 선전(鮮展) 동양화부 입선 8회

-1950년 조선미술동맹에 가담 후 월북

-1951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1956년, 1959년, 1960년에 월남과 구소련을 조선문화대표단으로 방문

-195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국화'로 1등상 수상

-1957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해바라기'로 1등상 수상

-1957년 김일성주석 표창장

-1958년 작품 '청봉'으로 국가미술전람회에서 1등상 수상

-1959-1963 조선미술가동맹 조선화분과 위원장

-1971년 작고


8. 작품번호 : 2102

작가 : 선우영

제목 : 백두산

크기 : 93x57

제작 : 1995

가격 : 

선우영 (1946-2009) 약력

 

-1946년 평양시에서 출생

-1969년 평양미술대학 산업미술학부 졸업

-1969-1972년 중앙미술창작사 창작가

-1972-2009년 만수대창작사에서 창작활동을 하다가 2009년에 사망했다.

-1987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장군님의 뜻을 안고'로 1등상 수상

-1989년 공훈예술가

-1992년 인민예술가

-2009년 작고

 

* 진채세화의 대가로서 그의 특징은 “거의 모든 풍경화에서 중경과 원경에 놓여있는 대상들의 묘사보다 구체적인 것이다. 큰 것을 위하여 부분적인 것의 생략과 같은 일반적인 논리가 아니고, 오히려 큰 것을 위하여 부분적인 것을 더 파고들어야 한다“라고 선우영은 주장하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48쪽 인용)

 

* 그가 창작한 ‘금강산석가봉’과 ‘범’은 세화기법으로 그린 조선화중에서 가장 우수한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47쪽 인용)


9. 작품번호 : 2119

작가 : 심덕규

제목 : 내금강계곡

크기 : 95x65

제작 : 2000

가격 :

심덕규 (1945-2010) 약력

-1945년 양강도 신계읍에서 출생

-1968~1972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2.16 예술교육출판사 창작가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주체의 태양'으로 금메달, '조선의 목단'으로 2등상, '복받은 세대'로 1등상을 수상했다.


10. 작품번호 : 2204

작가 : 안상목

제목 : 보현사

크기 : 40x41

제작 : 미 상

가격 : 

안상목 (1928-1990) 약력

-1928년 경상남도 창원군에서 출생

-1946년 서울 경동공립중학교 졸업

-1946-1950년 6.25전쟁 전까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양화과 졸업

-1950-1953년 북한인민군 사단정치부 서기로 미술직관원작을 하였다.

-1953-1957년 평양미술대학 유채과 졸업

-1957-1959년 과학원고고학 및 민속연구소 연구생

-1963-1982년 조선미술가동맹 평안남도 현역미술가

-1982년 이후 남포미술창작사 미술가

-1990년 작고

 

* 안상목의 풍경화들은 그 개개의 작품에 관통되어 있는 일반적인 공통성 , 즉 그가 아니고는 그릴 수 없는 고유성으로 하여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나무와 바위, 물 들을 그리는데서 표현되고 있는 선과 점, 색들의 고유한 형상방법은 정통에 의거하고 있으면서도 충분히 혁신되고 개성화 되어있다. (조성력대미술가편람 480-484쪽 인용)


11. 작품번호 : 2206

작가 : 안창국

제목 : 만물상 가을

크기 : 176x96

제작 : 1995

가격 : 

청명(淸明) 안창국 (1954- ) 약력

-1954년 평양에서 출생

-1979년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 졸업

-졸업 후 평양미술대학 교원, 강좌장으로 교육사업에 종사하고 있다.

-명화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100호 이상 대작이 많다.


12. 작품번호 : 2216

작가 : 정영만

제목 : 금강산 여름

크기 : 100x61

제작 : 1989

가격 : 

 

정영만 (1938 - 1999) 약력

1938년 강원도 원산시 명석동 출생

1962년 평양미술대 졸업

1966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집행위원

1974년 공훈예술가 

1978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 2.16장작실장

1979년 인민예술가

1989년 만수대창작사 창작부사장, 김일성상 수상

1990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1991년 로력영웅칭호 수여

1997년 2중로력영웅칭호 수여

1999년 6월 17일 작고

 

* 1973년부터 15년 동안 만수대창작사 창작실에서 정영만과 함께 창작생활을 했던 선우영(인민예술가, 2009년 작고)은 정영만에 대해 다음과 같은 소감을 말하고 있다.

금강산 일만 이천 봉우리들의 특징은 물론 개별적 바위들의 생김새 그리고 동석동골 안으로 흘러드는 아침 안개로부터 관음련봉 사이를 감돌아 질주하는 구름안개에 이르기까지 금강산의 기상과 특징들을 창작한 정영만 동지의 금강산 작품들은 그 생동성과 진실성으로 하여 우리들을 탄복하게 하였다. 참으로 정영만동지의 자연에 대한 목적 지향적이고 사색적인 관찰은 우리가 배워야 할 좋은 기풍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정영만과 그의 창작‘,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2000년 간행, 131-133쪽에서 인용)


13. 작품번호 : 2234

작가 : 정창모

제목 : 분계선의 옛집터 (표구)

크기 : 62x113

제작 : 1999

가격 : 

정창모 (1931-2010) 약력

-1931년 12월 전라북도 전주 완산동에서 가난한 로동자의 2째 아들로 태어났다.

-1950년 한국전쟁시 북한 의용군에 입대, 1956년까지 군복무

-1956년 조선미술가동맹 개성시위원장이였던 림군홍으로부터 각별한 지도를 받았다.

-1957년 26세에 평양미술대학에 입학

-1975년 김정일위원장의 지시로 북한최고의 예술가들을 만수대창작사로 집결시켜 종합적인 미술창작사로 발전시켰다. (정영만, 정창모, 선우영, 최계근, 홍성철 등이 차출됨)

-1977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 풍경화실 실장

-1977년 공훈예술가 

-1989년 인민예술가

-1980년 이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국가작품심의위원회 위원

-2000년 평양 국제문화회관에서, 그리고 중국에서 개인미술전시회를 가졌다.

-2000년 8월 14일 이산가족 상봉때 서울을 방문했다.

-2005년 김일성상 수상, 예술학박사 수여받음

-2005년 중국에서 개최된 국제미술전람회에서 금상을 수상

 

* 정창모는 197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에 이르는 15년간에 무려 2,000여점에 달하는 풍경화와 화조그림을 창작하였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533쪽 인용)

 

* 정창모는 풍경화와 화조만을 그린 작가이다. 인물화나 동물화 등 다양하고 폭이 넓은 영역을 형상화했던 다재다능한 작가는 아니다. 북한 발행 ‘조선력대미술가편람’에서 언급한 대로 정창모의 작품 수가 '수천 점'에 이른다고 한다면, 작품의 품질과 희소가치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사실을 우려해서 편람 533쪽 하단 부분에 다음과 같이 정창모의 다작을 옹호하고 있다.

'정창모는 자기의 창작을 인민에 대한 복무로 접근시켰다. 항간에 많이 류포되고 있는 정창모의 그림은 한 점이라도 더 인민들에게 주자는 그의 소박하면서도 진실한 창작 태도의 결과이다.’

 

* 2010년 사망하기까지 전라북도 전주시에 거주하는 여동생들과 서신을 교환하기도 했다.


14. 작품번호 : 2254

작가 : 차재렵

제목 : 외금강 계곡

크기 : 94x83

제작 : 1991

가격 : 

차재렵 (1948- ) 약력

-1948년 평양시 중구역에서 출생

-1971년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 졸업

-1971~1986 조선력사박물관 미술가, 문화보존총국 미술창작실 창작가

-1987년 평양 중앙미술창작사 조선화창작단 창작가

-1989~1995년 중국과 러시아에서 창작활동

-2001년 공훈예술가


15. 작품번호 : 2259

작가 : 채경화

제목 : 고향의 시내가

크기 : 79x65

제작 : 1998

가격 : 

채경화 (1948-) 약력

- 1948년 7월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출생

- 1966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와 '명화가 양성을 위한 특설학부' 졸업

- 1967-1978년 평양 중앙미술창작사 창작가

- 1979년 이후 철도미술창작사 창작실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수많은 작품들이 입선된 실력있는 화가이며, 조형적 안목이 매우 높아 화면구성에 특기를 가진 다양한 형상력을 가진 수준있는 화가이다.

 

* 명화가 칭호를 수여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