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기 전시 판매전

(종료) 2025년 제82회 전시판매전 (4/14-4/27)

1. 판매작품 : 북한유화 15점, 조선화 9점, 불화 1점

2. 전시·판매기간 : 2025년 4월 14일 ~ 4월 27일 (2주간)

3. 구매문의 : 010-4432-4676

4. Email : rheo343@naver.com


북한 유화 15점

1. 작품번호 : 1023

작가 : 구본영

제목 : 련주담

크기 : 32x44

제작 : 1991

가격 : 

 

구본영 (1922-1993) 약력

-서울시 통인정에서 출생하여 개성에서 송도고등보통학교를 졸업

-서양화가 오지호의 집을 자주 찾아가 그림지도를 받았다.

-1943년 일본 제국미술학교에 입학했으나 학비 때문에 1년 만에 중퇴

-해방후 개성에서 공립중학교 교원, 서울공업중학교 교원

-한국전쟁시기에 월북하여 예술단 미술가, 평양수예연구소 미술강사로 있으면서 후배양성사업을 했다. 후일 이들 제자들이 북한 수예가들의 핵심들이 되었다.

-1963-1982년 까지 조선미술가동맹 평안북도 위원장

-1970-1984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1972년 이후 30년간 전공하던 유화를 버리고 조선화 화가로 전환함.

-1982년 이후 구본영은 평안북도미술창작사 창작가로 생애 마지막 시기까지 꾸준하게 창작활동을 하였다.

-1993년 작고


2. 작품번호 : 1041

작가 : 김민구

제목 : 삼단못

크기 : 43x31

제작 : 1989

가격 : 

 

김민구 (1922-작고) 약력

-강원도 원산시에서 출생

-1937년 단신으로 일본 미술학교에서 1년간 훈련과정을 거쳐 입학했다.

-1941년 선전(鮮展) 20회에 입선하는 등 1944년까지 8점의 작품을 완성하여 선전(鮮展)에 출품했다.

-1945년 일본에 강제로 징용되어 북해도 광산에 끌려가 강제노역을 했다.

-종전 후 귀국하여 조선미술가동맹 강원도위원회 위원장으로 18년간 활동했다.

-195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초원'으로 1등상 수상

-작고년도 미상

 

* 1970년에 그린 '백두산천지'는 미술작품에서 처음으로 백두산천지의 진경이 전경화식으로 전개된 구도속에 펼쳐지게 되었다.

 

* 김민구는 황헌영과 더불어 풍경화를 전문으로 그리는 미술가이며, 풍경화가로서 독자적인 개성이 있는 우수한 미술가이다. 그의 그림은 폭이 크고 무게가 있으며 깊이 있는 남아다운 성격이 뚜렷하다고 인정받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417-419쪽 인용)


3. 작품번호 : 1045

작가 : 김상훈

제목 : 련주담

크기 : 61x46

제작 : 2000

가격 : 

 

김상훈 (1933 - 2017) 약력

-1933년 3월 평안북도 동창군에서 출생

-1961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교원, 강좌장으로 활동​​하였다.

-1961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여성영웅광부'로 2등상 수상

-1963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생의 노래'로 2등상 수상

-196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긍지'로 2등상 수상

-1982년 부교수

-1989년 학사학위

-1991년 평양 국제문화회관에서 130여점을 가지고 개인미술전람회를 가졌다.

-1996년 중국 연변에서 40여점을 가지고 미술작품전시회를 가졌다

-1997년 인민예술가

-2017년 작고


4. 작품번호 : 1060

작가 : 김순규

제목 : 금강산가을

크기 : 91x65

제작 : 2007

가격 : 

 

김순규 (1957 - ) 약력

-1957년 평안북도 철산군에서 출생

-1983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1990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1등상

-1992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1등상

-1993년 공훈예술가

 

* 김순규는 비교적 조선화 묘사기법을 정확히 습득하였고 형상기량도 있는 신진 미술가로 정력적인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그림이 부드럽고 정서가 있는 것은 조선화의 우림기법으로 화면을 창작하게 조형화한데서 오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91쪽 인용)

 

 


5. 작품번호 : 1078

작가 : 김종섭

제목 : 금강산 련주담

크기 : 63x90

제작 : 2001

가격 : 

 

김종섭 (1937- ) 약력

-평안북도 정주시에서 출생

-1955년 평양미술대학 예비과에 입학, 1961년에 유화과를 졸업.

-1966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황해북도 위원회 미술가, 황해북도 위원장으로 20년 이상을 황해북도의 미술을 책임진 지도일군으로 성과적으로 훌륭히 수행한 공로로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196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불굴의 투사 김금순동지'로 3등상을 수상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그의 유화작품들은 깊은 창작적 사색으로 이루어진 조형적 형상과 표현언어들의 활용으로하여 폭과 깊이가 보장되어 있고, 진지하게 파고 든 묘사력으로 비교적 완성도가 높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23-624쪽 인용)


6. 작품번호 : 1085

작가 : 김철헌

제목 : 일요일아침

크기 : 101x66

제작 : 2007

가격 : 

 

김철헌 (1937 - ) 약력

-1937년 량강도 보천군에서 출생

-1955~1958년 원산농업대학 졸업

-1958~1960년 평양연극영화대학 미술학부 졸업

-1960~1962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 졸업

-1962년 이후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책임미술가

-1964년 예술영화 '정방공', '인민교원', '이 세상 끝까지' 영화미술창작

-196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영화미술 '정방공'(1등), '고향길'(1등) 수상

-1979년 공훈예술가

-1979년 다부작 예술영화 '이름없는 영웅들'(20부작) 영화미술을 창작했다.

 

* 김철헌은 오랜 동안 영화미술을 하면서 현실적으로 생동하는 진실된 작품들을 창작해왔다. 그의 작품은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7. 작품번호 : 1104

작가 : 렴태순

제목 : 붓나무숲

크기 : 90x61

제작 : 2005

가격 : 

 

렴태순 (1950- ) 약력

-1950년 평양에서 출생하여 중등학교를 졸업하고, 1968년 인민군대에 입대

-1974년부터 20여년간 전문미술창작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다.

-1993년 통신으로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를 졸업했다.

-1978년 '조국광복회원의 딸'로 국가미술전람회 2등상

-1992년 '기다리던 천사들'로 국가미술전람회 1등상

-렴태순은 중견미술가로서 공훈예술가 칭호를 받고,

-2005년에 인민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 렴태순의 대표작 '조국광복회원의 딸'의 작품에 대해 <조선미술사> 2권에서 다음과 같이 평하고 있다. "이 작품은 선묘법, 몰골법을 능동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작품의 사상주제적 내용을 보다 형상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색들이 서로 흡수되어 우아한 색조화를 나타내어 얻은 형상으로서 집약과 함축을 기법적으로 담보하는 몰골법의 우월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8. 작품번호 : 1124

작가 : 리상문

제목 : 향산

크기 : 89x62

제작 : 2006

가격 : 

 

리상문 (1942 - ) 약력

-1942년 강원도 원산시에서 출생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 졸업

-1975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앞에는 최전선'으로 1등상

-197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어린 머슴의 쪽잠'으로 1등상

-공훈예술가 (연도미상)

-1994년 인민예술가

 

* 리상문은 대단한 노력가다. 그가 창작에서 성공할 수 있은 것은 다른 미술가들 보다 2~3배의 노력을 더 한데 있다. 리상문은 그림을 쉽게 그리지 않고 힘들게 그린다. 형상적 의도가 관철될 때까지 다시 그리며 일단 완성하면 성공하는 미술가이다. 따라서 작품수는 적고 성과작은 많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96-698쪽 인용)


9. 작품번호 : 1148

작가 : 리정찬

제목 : 향산의 아침

크기 : 102x76

제작 : 2007

가격 : 

 

리정찬 (1948 - ) 약력

-1948년 평양에서 출생

-1978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대학졸업 후 백호창작사에서 25년간 창작생활을 하면서 여러 형식의 미술창작사업에 관여했다.

-1997년 공훈예술가

 

* 리률선, 박진수로부터 미술교육을 받았고, 전통에 기초하면서 강한 색의 대조, 명암처리로 필체가 활달하고 색채형상을 다양하게 구사한 특기를 가지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60쪽 인용)


10. 작품번호 : 1189

작가 : 박래천

제목 : 접선봉

크기 : 160x65

제작 : 2002

가격 : 

 

박래천 (1936 - 2017) 약력

 

-1936년 11월 전라북도 금산군에서 출생하여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고급중학교 졸업

-1963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40여년간 출판화 학부교원, 강좌장으로 계속활동하였다.

-196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모든 지역 모든 전선'으로 입상

-1985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30만정보의 날바다'로 입상

-198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기적소리'로 입상(대표작품)

-1991년 공훈예술가

-1994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탄광에 더 많은 갱목을'로 입상

-1998년 인민예술가

-2017년 작고

 

* 박래천의 유화는 구도적으로는 대각선상에 기본 묘사 대상을 설정하고 검붉은 색의 강렬한 색계조로 직관적 표현력을 강조해 준다. 박래천은 2000년 전후 북한 최초로 유화에 몰골기법을 적용하여 독창적인 조형기법을 완성하여 북한 미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박래천은 몰골화 기법을 유화에 적용하여 자기만의 새로운 화법으로 독창적이고 개성이 넘치는 아름다운 그림으로 북한 최고의 명화가로 평가받고 있으며, 지난 35년에 걸치는 후대 교육사업을 통하여 재능 있는 많은 선전화가들을 키워내는데 기여하였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17쪽 인용)


11. 작품번호 : 1232

작가 : 신성섭

제목 : 구룡폭포

크기 : 105x79

제작 : 1998

가격 : 

 

신성섭 (1941 - ) 약력

-1941년 함경남도 함흥시에서 출생

-1971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1971~1985년 평양미술대학 교원

-1985년 중앙미술창작사 조선화창작단장

-공훈예술가

-국가미술전람회에 40여점을 입선시킨 실력있는 미술가로, 그의 작품 9점은 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전시되어 있다.

 

 


12. 작품번호 : 1244

작가 : 유흥섭

제목 : 붓나무숲

크기 : 64x50

제작 : 1993

가격 : 

 

유흥섭 (1934 - ) 약력

 

-1934년 함경북도 라진시에서 출생

-1955년-1960년 평양미술대학 무대미술학부 졸업

-1963년 조선인민군협주단 미술가, 창작부 미술실장으로 30여년간 복무하면서 주로 가극 무대미술 그리고 일련의 주제미술작품들을 창작하였다.

-1970년 '조선의 예술은 살아있소'(262x174cm) 작품은 김정일위원장으로부터 극찬을 받은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574쪽 인용)

-1973년 공훈예술가 

-1982년 인민예술가

 

* 유흥섭은 무대미술은 물론 유화, 조선화 등 회화분야에서도 높은 소묘력과 조형형상능력을 소유한 다재다능한 미술가이다.


13. 작품번호 : 1280

작가 : 정영화

제목 : 백두고원의 가을

크기 : 160x117

제작 : 2002

가격 : 



정영화 (1948 - ) 약력

 

-1948년 11월 함경북도 무산군에서 출생하여 강원도 평강군에서 고급중학교 졸업

-1977년 평양미술대학 산업미술학부졸업 후 중앙미술창작사 창작가/단장으로 활동​

-1983년 전국선전화전람회 1등상

-1988년 국제미술전람회 2등상 

-198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아침'으로 1등상

-1989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저녁'으로 2등상

-1991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남북서화전시회에서 북측대표로 참석

-1992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땅과 전사'로 1등상

-1992년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음​

-1993년 전국선전화전람회에서 1등상

-1994년 전국선전화전람회에서 금메달

-1999년 문예총중앙위원회 위원/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

 

* 그의 그림은 농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인상 깊은 생활의 한 순간을 전형적인 환경과 생활세부에 담아 집중시켜 새롭게 창조함으로써 사람들에게 깊은 추억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63-765쪽 인용)


14. 작품번호 : 1340

작가 : 표세종

제목 : 백두산천지

크기 : 69x46

제작 : 1998

가격 : 

 

표세종 (1929 - 작고) 약력

-전라남도 목포시 남교동에서 출생

-1954년 일본 도쿄 무사시노미술대학을 졸업

-도쿄 조선중고급학교 미술교원으로 있다가 1962년 북한으로 입국

-1962-1982년까지 함경남도 미술창작사 창작실 미술가로 활동하였다.

-1986년 공훈예술가

-작고년도 미상

 

* 그는 창작의 길로 들어선 이후 거의 모든 국가미술전람회, 부분미술전람회에 빠짐없이 작품을 출품했고, 현실의 면모를 구체성을 가지고 사실주의적으로 진실하게 묘사했다. 또한 창작에서 불필요한 기교를 부리거나 형식에 치우치는 경우를 찾아볼 수 없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503쪽 인용)

 


15. 작품번호 : 1351

작가 : 한태순

제목 : 여름숲

크기 : 78x59

제작 : 2001

가격 : 

 

한태순 (1937 - ) 약력

 

-1937년 평양시에서 출생

-1965년 평양미술대학 출판화과 졸업

-1965-1974년 조선미술가동맹 현역미술가

-1974년 이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 교수로 활동

-1987년 공훈예술가


조선화 9점

1. 작품번호 : 2023

작가 : 김성근

제목 : 구룡폭포

크기 : 67x101

제작 : 1990

가격 : 

김성근 (1945 - ) 약력

 

-1945년 7월 평안북도 천마군에서 출생하여 중등교육을 받고 기계공장에서 로동자로 일했으며 군복무를 거쳐 1971년 만수대창작사에서 창작활동을 시작

-1972-1975년 통신으로 평양미술대학을 졸업

-1986년까지 만수대창작사에서 풍경을 전문으로 그리는 화가였으나

-1987년(42세)부터 파도 그림을 맡아 주동적으로 형상화하여 파도전문가가 되었다. 인민예술가로 김파도라는 별칭도 얻게 되었다.

-1990년 이탈리아에서 진행된 국제수채화경연에서 3등에 당선되었다.

-1991년 공훈예술가

-1993년 그의 대표작 '해금강의 파도(18mx8m)'를 제작했다.

-1994년 김정일로 부터 2차례에 걸쳐 대걸작이라고 높은 평가를 받았다.

-1998년 인민예술가

 

* 김성근은 바다를 형상화하면서 고요하고 잔잔한 바다가 아니라 부단히 움직이며 변하는 바다, 격랑을 일으키며 솟구치는 파도, 폭풍을 일으키며 광란하는 파도를 형상화하여 시련과 난관을 뚫고 나가는 의지와 신념을 상징하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32쪽 인용)


2. 작품번호 : 2028

작가 : 김성호

제목 : 고향의 겨울

크기 : 96x50

제작 : 2000

가격 :

김성호 (1944- ) 약력

-1944년 평양시에서 출생

-1968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1969-1973년 중앙미술창작사에서 유화를 그렸고, 그 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에서 조선화를 그렸다.

-그는 국가미술전람회에서 10여점이 입상(금메달과 1~3등) 되었다.

-1989년 공훈예술가 

-1996년 인민예술가 

 

* 김성호는 풍경화에서 추구한 정서는 매우 감성적이다. 그는 주로 아침과 흐린 날 등의 시간적 느낌에서 오는 독특한 정서를 통하여 자연의 미를 부각시키고, 격이 있고 운치가 있는 고상한 형상을 창조하고 있다. 또한 그의 풍경화들에는 짙은 향토적 정서가 깔려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21쪽 인용)


3. 작품번호 : 2053

작가 : 리률선

제목 : 호랑이

크기 : 69x134

제작 : 1997

가격 : 

리률선 (1933 - ) 약력

 

-1933년 황해북도 은천군에서 출생

-1949년 평양체신전문학교 졸업 후 인민군대에 입대하여 중상을 입었다.

-1952년 평양미술대학입학, 1957년 졸업

-1961년 '간석지개간'으로 국가미술전람회에서 2등상

-1980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금메달

-1980년 공훈예술가

-1992년 인민예술가

-1988년 '진펄길을 헤치고'로 국가미술전람회에서 2등상

-1957~1998년까지 평양미술대학 교원, 부교수, 조선화학부장

-1960년 이후 조선미술가동맹 조선화분과위원, 중앙위원, 집행위원, 미술작품심의위원회 심의위원, 국가학위학직 심의위원을 지냈다.

 

* 저서로는 조선화법(1983년), 조선화화법기초(1984년)가 있다.


4. 작품번호 : 2084

작가 : 문화춘

제목 : 만물상겨울

크기 : 130x66

제작 : 미 상

가격 : 

문화춘 (1938 - 2019) 약력

 

-1938년 중국 길림성 연길현에서 출생하여 해방후 평양에서 중학교를 다녔다.

-아버지 문하연은 평양음악대학 초대 학장으로 교육사업에 종사한 집안이였다.

-문화춘은 17세인 1954년에 평양미술대학 예비과(2년), 본과(4년)을 수료하고, 1960년에 졸업하여 모교의 교원으로 창작활동을 시작했다.

-1969년 이후 철도부창작사 조선화단 창작가, 창작실장

-1971년 그의 대표작 '내금강의 아침(90x175cm)'으로 김정일로부터 표창장을 받았다.

-1987년 공훈예술가

-1989년 100여점을 가지고 개인미술전람회를 가졌다.

-2019년 작고


5. 작품번호 : 2112

작가 : 송시엽

제목 : 가을국화

크기 : 40x131

제작 : 1999

가격 : 

송시엽 (1934 - ) 약력

 

-1934년 함경북도 길주군에서 출생

-1955-1959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1959-1995년 국립미술출판사, 조선로동당출판사에서 미술가로 창작활동을 하였다.

-1980년 공훈예술가

-2006년 인민예술가

-1995년 이후 송화미술원 서기장

 

* 송시엽은 청소년잡지들과 여러 출판물에 600여건의 만화를 그렸으며 그림책 3권을 그려 출판하였다. 또한 그는 1967년부터 선전화 창작을 전문으로 하면서 120여점의 전투적이며 호소성 있는 선전화를 그렸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581쪽 인용)


6. 작품번호 : 2203

작가 : 심덕규

제목 : 금강산 련주담

크기 : 134x73

제작 : 2000

가격 : 

심덕규 (1945-2010) 약력

-1945년 양강도 신계읍에서 출생

-1968~1972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2.16 예술교육출판사 창작가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주체의 태양'으로 금메달, '조선의 목단'으로 2등상, '복받은 세대'로 1등상을 수상했다.


7. 작품번호 : 2217

작가 : 정영만

제목 : 금강산겨울

크기 : 104x66

제작 : 1991

가격 : 

정영만 (1938 - 1999) 약력

1938년 강원도 원산시 명석동 출생

1962년 평양미술대 졸업

1966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집행위원

1974년 공훈예술가 

1978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 2.16장작실장

1979년 인민예술가

1989년 만수대창작사 창작부사장, 김일성상 수상

1990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1991년 로력영웅칭호 수여

1997년 2중로력영웅칭호 수여

1999년 6월 17일 작고

 

* 1973년부터 15년 동안 만수대창작사 창작실에서 정영만과 함께 창작생활을 했던 선우영(인민예술가, 2009년 작고)은 정영만에 대해 다음과 같은 소감을 말하고 있다.

금강산 일만 이천 봉우리들의 특징은 물론 개별적 바위들의 생김새 그리고 동석동골 안으로 흘러드는 아침 안개로부터 관음련봉 사이를 감돌아 질주하는 구름안개에 이르기까지 금강산의 기상과 특징들을 창작한 정영만 동지의 금강산 작품들은 그 생동성과 진실성으로 하여 우리들을 탄복하게 하였다. 참으로 정영만동지의 자연에 대한 목적 지향적이고 사색적인 관찰은 우리가 배워야 할 좋은 기풍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정영만과 그의 창작‘, 평양문학예술종합출판사, 2000년 간행, 131-133쪽에서 인용)


8. 작품번호 : 2230

작가 : 정종여

제목 : 잉 어

크기 : 59x103

제작 : 1968

가격 : 

정종여 (1914-1984) 약력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면에서 가난한 농민의 둘째 아들로 출생, 호는 청계(靑谿)

- 1933년 일본 오사카미술학교 입학, 1940년 졸업

- 1936년~1944년 선전(鮮展)에서 입선 6회, 특선 2회

- 1951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 1952년부터 10년간 평양미술대학 조선화강좌교원, 강좌장

- 1953년 이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집행위원

- 1955년 '굴진'으로 국가미술전람회 1등상

- 1956년 '5월의 농촌'으로 국가미술전람회 1등상

- 1958년 '고성인민들의 전선원호'로 국가미술전람회 1등상

- 1961년 이후부터 문예총중앙위원회 위원

- 1974년 공훈예술가

- 1982년 인민예술가

- 1978년 이후 동맹현역미술가로 만수대창작사 조선화단 미술가로 활동

- 1984년 작고


9. 작품번호 : 2258

작가 : 채경화

제목 : 시내가겨울

크기 : 61x36

제작 : 1999

가격 : 

 

채경화 (1948-) 약력

- 1948년 7월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출생

- 1966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와 '명화가 양성을 위한 특설학부' 졸업

- 1967-1978년 평양 중앙미술창작사 창작가

- 1979년 이후 철도미술창작사 창작실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수많은 작품들이 입선된 실력있는 화가이며, 조형적 안목이 매우 높아 화면구성에 특기를 가진 다양한 형상력을 가진 수준있는 화가이다.

 

* 명화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불화 1점

작품번호 : 9100

작품이름 : Tibet Mandala Painting

크 기 : 58.5x79.5cm

제 작 : 16세기에 Tibet에서 제작된 불화

가 격 : 

 

Tibet Mandala Painting (58.5x79.5)

 

 

Tibet Mandala Painting (58.5x79.5) : 절반상

 

Tibet Mandala Painting (58.5x79.5) : 절반하

 

 

Tibet Mandala Painting (58.5x79.5) : 중앙원형

 

 

특징

비단화폭에 부처와 각종 불교문양을 채색형상화한 후, 영구보존을 위해 불화전체를 금()물로 입혔다.

 

소장 경위

소장가가 2000년 당시 직장동료인 인도출신 xxxx와 물물교환 형태로 고가로 매입한 불화이다. 본 불화를 매도한 인도사람은 인도에서 아직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50여개의 왕국의 왕족출신으로 영국 옥스퍼드대학을 졸업하고 영국은행 Royal Bank of Scotland 홍콩에서 근무한 중견간부였다.

 

Tibet 불화 작품 설명

제한된 좁은 화폭에 셀 수 없을 만큼 수많은 부처를 기하학적으로 정밀하게 그렸고, 상하좌우가 서로 대칭되도록 고난도의 구도로 구성된 것이 놀랍도록 신기할 정도다. 부처의 형상뿐만 아니라 불화 전체에 그려진 문양 자체도 너무 정교하게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한 위치에 배열되어 불화 구도를 완벽하게 만들고 있다.

 

특히 불화 중앙에 네 겹으로 된 원형 중 제일 안쪽 원형 안에 그려진 모든 형상은 본 불화의 핵심적인 주제와 관련된 불경을 이미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형 외부와 내부의 부처형상이 다르고, 특히 원형 중앙에 있는 정사각형의 내부와 바깥쪽 부처와 문양도 서로 다른 형상임을 알 수 있다. 본 불화의 제일 중앙에 자리 잡은 정사각형 중심에 그려진 십자가 모양의 문양 등 불화를 구성하고 있는 전체적인 내용과 해석에 대해서는 불화를 전공한 학자들의 전문적인 의견이 필요하다.

 

한 사람의 신앙적인 헌신으로만 본 불화를 완성했다고는 상상하기 어렵다. 16세기에 Tibet에서 이러한 고난도의 훌륭한 불화를 정밀하게 창작할 수 있었다는 사실 자체가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보물 같은 작품인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