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기 전시 판매전

(종료) 2024년 제60회 전시판매전 (6/10-6/23)

1. 판매작품 : 특별 가격 작품 1점, 북한 유화 20점, 조선화 5점

2. 전시·판매기간 : 2024년 6월 10일 ~ 2024년 6월 23일

3. 구매문의 : 010-4432-4676

4. Email : rheo343@naver.com


       특별 가격 작품                                                                                                                                              

작품번호 : 3083

작가 : 소재(素齋) 박춘묵

제목 : 적송산수

크기 : 212x48

제작 : 2000년

가격 : 

박춘묵 - 적송산수 (212x48)
박춘묵 - 적송산수 (212x48) : 낙관

 

소재(素齋) 박춘묵 (1948-) 화백 약력

-1948년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출생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수료

-1977~1981년 국전 입선4회/특선1회(1981)

-1982/1984년 대한민국 미술대전 특선2회

-1983년 대한민국 미술대전 입선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 초대작가

-1991~2007년 단체전/그룹전 31회


북한유화 20점

 

작품번호 : 1003

작가 : 강익하

제목 : 금강산가을

크기 : 310x140

제작 : 2003

가격 : 

 

강익하 (1939 - 2006) 약력

 

-1939년 1월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출생

-1961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이후 40년 넘게 평양미술대학 교원, 강좌장으로 활동하면서 후대교육사업에 전심하였다.

-1964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혁명가의 어머니' 작품으로 3등상 수상

-1987년 구 소련 쑤리코브 미술대학 초빙교수

-198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소원' 작품으로 3등상 수상

-1991년 부교수

-1992년 공훈예술가

-1993년 예술학 학사학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유화분과위원

-교육자로서 그는 참고서 ‘소묘실기’(1985년 초판/1996년 재판)을 집필

-2006년 작고

 

* 강익하는 일단 대상을 잡으면 놓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완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창작에서의 성과는 재능보다도 노력에 의하여 더욱 담보되고 있다. 강익하는 1974년부터 항일혁명투사들의 모습을 재건하기 위해 초상그림을 그렸다. 그 후 이러한 초상화는 조각창작사업에 커다란 도움을 주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55~657쪽 인용)


작품번호 : 1026

작가 : 김광룡

제목 : 이선폭포

크기 : 91x65

제작 : 2001

가격 : 

 

김광룡 (1949 - 작고) 약력

-1949년 평양시에서 출생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를 졸업

-졸업이후 모교에서 교원으로 창작활동을 계속하다가, 숙환으로 2004년에 사망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작품번호 : 1035

작가 : 김린권

제목 : 동해바다

크기 : 86x59

제작 : 2000

가격 : 

 

김린권 (1925 - 2004) 약력

 

-1925년 함경남도 인흥군에서 출생

-1938년부터 10년간 흥남비료공장에서 노동자로 일하였다

-1948년 평양미술대학 전문학교에 입학

-1951년 구소련 레닌그라드 레핀미술대학에서 6년간 미술공부를 하였다.

-1957년 귀국하여 문화선전성 지도원

-1964년-1982년 조선미술가동맹 영화 및 미술분과 위원장

-1965년 정종여와 함께 조선미술박물관에서 2인 전람회를 가졌다.

-1978년 공훈예술가

-1983년-1994년 문학예술작품 심사위원

-2004년 작고할 때까지 송화미술원 서기장으로 있었다.

-2004년 작고


작품번호 : 1039

작가 : 김만형

제목 : 가을들판

크기 : 61x28

제작 : 미상

가격 : 

 

김만형 (1916-1984) 약력

- 경기도 개성시에서 출생

- 1929년 경성 제1 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34년 일본 제국미술학교에 입학.

- 선전(鮮展) 16회(1937년)~22회까지 6점이 입선, 23회는 '언덕'으로 특선

- 1939년 졸업 후 집안이 파산하여 화신백화점/광산에서 일을 하였다.

- 1946년 남조선미술동맹 서기장

- 1949년 제 1회 국전 추천작가

- 1952년 조선미술가동맹 평안북도 지부장

- 1958년 조선미술가동맹 유화분과 지도원

- 1984년 작고

 

* 김만형은 다양한 주제의 작품들을 비롯하여 비교적 폭이 넓고 정서가 깊은 풍경화들을 많이 창작하였다. 그는 사상적으로 좌익을 신봉한 화가로서 풍경화에서 뛰어난 기량을 보여 웅장한 느낌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325-328쪽 인용)


작품번호 : 1048

작가 : 김상훈

제목 : 가을계곡

크기 : 76x53

제작 : 2001

가격 : 

김상훈 (1933 - 2017) 약력

-1933년 3월 평안북도 동창군에서 출생

-1961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교원, 강좌장으로 활동​​하였다.

-1961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여성영웅광부'로 2등상 수상

-1963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생의 노래'로 2등상 수상

-196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긍지'로 2등상 수상

-1982년 부교수

-1989년 학사학위

-1991년 평양 국제문화회관에서 130여점을 가지고 개인미술전람회를 가졌다.

-1996년 중국 연변에서 40여점을 가지고 미술작품전시회를 가졌다

-1997년 인민예술가

-2017년 작고

 


작품번호 : 1077

작가 : 김종섭

제목 : 고향집

크기 : 71x52

제작 : 2001

가격 : 

김종섭 (1937- ) 약력

-평안북도 정주시에서 출생

-1955년 평양미술대학 예비과에 입학, 1961년에 유화과를 졸업.

-1966년부터 조선미술가동맹 황해북도 위원회 미술가, 황해북도 위원장으로 20년 이상을 황해북도의 미술을 책임진 지도일군으로 성과적으로 훌륭히 수행한 공로로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196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불굴의 투사 김금순동지'로 3등상을 수상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그의 유화작품들은 깊은 창작적 사색으로 이루어진 조형적 형상과 표현언어들의 활용으로하여 폭과 깊이가 보장되어 있고, 진지하게 파고 든 묘사력으로 비교적 완성도가 높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23-624쪽 인용)

 


작품번호 : 1088

작가 : 김철헌

제목 : 기다리는 안해

크기 : 114x79

제작 : 2007

가격 : 

 

김철헌 (1937 - ) 약력

-1937년 량강도 보천군에서 출생

-1955~1958년 원산농업대학 졸업

-1958~1960년 평양연극영화대학 미술학부 졸업

-1960~1962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 졸업

-1962년 이후 조선예술영화촬영소 책임미술가

-1964년 예술영화 '정방공', '인민교원', '이 세상 끝까지' 영화미술창작

-196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영화미술 '정방공'(1등), '고향길'(1등) 수상

-1979년 공훈예술가

-1979년 다부작 예술영화 '이름없는 영웅들'(20부작) 영화미술을 창작했다.

 

* 김철헌은 오랜 동안 영화미술을 하면서 현실적으로 생동하는 진실된 작품들을 창작해왔다. 그의 작품은 해외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작품번호 : 1090

작가 : 김형철

제목 : 소백수골

크기 : 44x55

제작 : 2000

가격 : 

 

김형철 (1931 - 2017) 약력

-1931년 함경남도 홍원군에서 출생

-1949년 평양미술대학 입학, 1955년 졸업

-1955~1983년 평양미술대학 교원, 강좌장, 대학박사원 원장, 예술학학사

-1961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평론분과 위원

-1988년 공훈예술가

-1989년 교수학직수여, 국가학위학직수여위원회 예술학부문 심의위원

-1989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2017년 작고

 

* 1963년부터 그가 집필한 '소묘' 교과서는 1997년 까지 무려 6차례에 걸쳐 개작되어 출판된 것으로 미술대학, 사범대학, 교원대학, 예술학원을 비롯한 미술교육부문의 유일한 교과서가 되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523쪽 인용)


작품번호 : 1100

작가 : 라병주

제목 : 리명수에서

크기 : 114x79

제작 : 2004

가격 : 

 

라병주 (1942- ) 약력

- 1942년 평양시 모란봉구역에서 출생

- 1972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 유화과졸업

- 1973년 이후 만수대창작사 창작가

- 1987년 이후 목란창작사 창작가, 문예총 중앙위원회 미술가

- 1988년 러시아미술전시회, 1989년 불가리아 국제미술전람회, 그리고 일본과 중국에서 진행된 국제미술전시회에서 우수한 미술가로 평가받아왔다.

 

* 대표작으로 조선화 '은하리쳐녀들', 유화 '청산리 이른 새벽', '포도', '리명수에서' 등이 있으며, 30여점의 국보작품을 창작하여 보존되어 있다.

* 명화가 칭호를 수여받았다.


작품번호 : 1108

작가 : 류정봉

제목 : 백두산천지

크기 : 92x44

제작 : 1994

가격 : 

 

류정봉 (1942 - ) 약력

 

-1942년 2월 평양시에서 출생

-1967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모교에서 유화강좌 교원으로 활동​​

-평양미술대학 박사원(4년)졸업 후 구 소련에서 미술활동을 하였다. ​

-1974년 아프리카 잠비아 미술고문으로 활동했다.

-1991년 공훈예술가

-그는 '유화의 채색원리'에 대한 론문을 집필하여 예술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 그의 처는 혁명가극 '금강산의 노래'의 주인공역을 한 공훈배우 림춘영이며, 그의 조카 김동환은 로력영웅이자 인민예술가이다.

 

* 1995년에 제작된 '금강산 상팔담의 달밤'은 진지한 창작태도를 가지고 색채의 조형미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화가의 탐구정신을 충분히 엿보게 하며 그의 창작적 개성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99-700쪽 인용)


작품번호 : 1125

작가 : 리상문

제목 : 꽃늪가

크기 : 92x64

제작 : 2007

가격 : 

 

리상문 (1942 - ) 약력

-1942년 강원도 원산시에서 출생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 졸업

-1975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앞에는 최전선'으로 1등상

-197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어린 머슴의 쪽잠'으로 1등상

-공훈예술가 (연도미상)

-1994년 인민예술가

 

* 리상문은 대단한 노력가다. 그가 창작에서 성공할 수 있은 것은 다른 미술가들 보다 2~3배의 노력을 더 한데 있다. 리상문은 그림을 쉽게 그리지 않고 힘들게 그린다. 형상적 의도가 관철될 때까지 다시 그리며 일단 완성하면 성공하는 미술가이다. 따라서 작품수는 적고 성과작은 많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96-698쪽 인용)


작품번호 : 1196

작가 : 박래천

제목 : 접선봉

크기 : 256x120

제작 : 2002

가격 : 

 

 

박래천 (1936 - 2017) 약력

 

-1936년 11월 전라북도 금산군에서 출생하여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고급중학교 졸업

-1963년 평양미술대학졸업 후 40여년간 출판화 학부교원, 강좌장으로 계속활동하였다.

-196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모든 지역 모든 전선'으로 입상

-1985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30만정보의 날바다'로 입상

-198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기적소리'로 입상(대표작품)

-1991년 공훈예술가

-1994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탄광에 더 많은 갱목을'로 입상

-1998년 인민예술가

-2017년 작고

 

* 박래천의 유화는 구도적으로는 대각선상에 기본 묘사 대상을 설정하고 검붉은 색의 강렬한 색계조로 직관적 표현력을 강조해 준다. 박래천은 2000년 전후 북한 최초로 유화에 몰골기법을 적용하여 독창적인 조형기법을 완성하여 북한 미술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 박래천은 몰골화 기법을 유화에 적용하여 자기만의 새로운 화법으로 독창적이고 개성이 넘치는 아름다운 그림으로 북한 최고의 명화가로 평가받고 있으며, 지난 35년에 걸치는 후대 교육사업을 통하여 재능 있는 많은 선전화가들을 키워내는데 기여하였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617쪽 인용)


작품번호 : 1243

작가 : 유흥섭

제목 : 압록강

크기 : 66x48

제작 : 1998

가격 : 

 

유흥섭 (1934 - ) 약력

 

-1934년 함경북도 라진시에서 출생

-1955년-1960년 평양미술대학 무대미술학부 졸업

-1963년 조선인민군협주단 미술가, 창작부 미술실장으로 30여년간 복무하면서 주로 가극 무대미술 그리고 일련의 주제미술작품들을 창작하였다.

-1970년 '조선의 예술은 살아있소'(262x174cm) 작품은 김정일위원장으로부터 극찬을 받은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574쪽 인용)

-1973년 공훈예술가 

-1982년 인민예술가

 

* 유흥섭은 무대미술은 물론 유화, 조선화 등 회화분야에서도 높은 소묘력과 조형형상능력을 소유한 다재다능한 미술가이다.


작품번호 : 1280

작가 : 정영화

제목 : 백두고원가을

크기 : 160x117

제작 : 2002

가격 : 

 

정영화 (1948 - ) 약력

 

-1948년 11월 함경북도 무산군에서 출생하여 강원도 평강군에서 고급중학교 졸업

-1977년 평양미술대학 산업미술학부졸업 후 중앙미술창작사 창작가/단장으로 활동​

-1983년 전국선전화전람회 1등상

-1988년 국제미술전람회 2등상 

-1988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아침'으로 1등상

-1989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저녁'으로 2등상

-1991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남북서화전시회에서 북측대표로 참석

-1992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땅과 전사'로 1등상

-1992년 공훈예술가 칭호를 수여받음​

-1993년 전국선전화전람회에서 1등상

-1994년 전국선전화전람회에서 금메달

-1999년 문예총중앙위원회 위원/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

 

* 그의 그림은 농촌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인상 깊은 생활의 한 순간을 전형적인 환경과 생활세부에 담아 집중시켜 새롭게 창조함으로써 사람들에게 깊은 추억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63-765쪽 인용)

 


작품번호 : 1312

작가 : 최동수

제목 : 해칠보바위

크기 : 114x75

제작 : 2001

가격 : 

 

최동수 (1937 - 2013) 약력

 

-1937년 함경북도 청진시에서 출생

-1948년 함경북도 아동미술전람회에서 특등상을 수상

-1954년 평양미술대학 출판화학부에 입학.

-1959-1973년 졸업후 조선우표사, 조선미술가동맹 현역미술가

-1974-1977년 조선미술가동맹 조선화분과 위원장

-1977-1982년 조선미술가동맹 부위원장

-1978년 공훈예술가

-1983-2001년 문화예술부 미술지도국장,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업미술지도국장

-2001년 이후 송화미술원에서 활동했다.

-2013년 작고


작품번호 : 1321

작가 : 최재덕

제목 : 여인

크기 : 37x50

제작 : 1955

가격 : 

 

최재덕 (1916 - 1973) 약력

-경상남도 산청군에서 출생

-1936-1940년 선전(鮮展) 15회, 18회, 19회(2점)등 4점이 입선되었다.

-1938년 일본 태평양미술학교 졸업

-1948년 정현웅, 김만형, 리쾌대 등과 함께 좌익미술단체를 조직

-1949년 제1회 대한민국 국전에 작품 '산'으로 추천작가로 참여했다.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월북

-1958년 용광로(88x125), 1961년 사과따는 처녀(40호)는 공간적 깊이와 색채의 풍부성, 그리고 센 붓질은 화가의 개성적인 창작능력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1973년 작고


작품번호 : 1328

작가 : 최제남

제목 : 노을비낀 대동강

크기 : 73x55

제작 : 2001

가격 : 

최제남 (1934-2015) 약력

 

-함경북도 온성군에서 출생

-1951년 평양미술대학 입학해서 한상익으로 부터 그림수업을 받았다.

-1952년 모스크바 방직대학 장식미술학부에서 5년간 미술수업을 받았다.

-1957년에 귀국하여 평양미술대학 교원, 강좌장, 교무부학장, 과학부학장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그는 교육행정사업과 국가학위학직 심의사업, 대외사업 등으로 하여 창작적 작품형상을 보여줄 기회를 얻지 못했다.

-1980년 부교수

-1981년 학사학위

-1986-1994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집행위원, 문예총 중앙위원회 위원, 범민련 북측본부 중앙위원, 미술부문국가심의위원회 위원

-1986-1995년 중앙미술창작사 사장

-1998년 조각가 곽태영과 함께 평양국제문화회관에서 2인 전람회를 가졌다.

-2015년 작고


작품번호 : 1338

작가 : 최하택

제목 : 금강산 만물상

크기 : 322x152

제작 : 2002

가격 : 

* 최하택 ‘금강산 만물상’의 중상단(中上段)은 카메라 후레쉬가 반사되어 불분명하게 보이나, 실물은 정상적으로 깨끗합니다.

최하택 (1946 - ) 약력

 

- 1946년 5월 평안북도 신의주시에서 출생

- 1968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 졸업​​

- 1997년부터 만수대창작사 유화단장

- 1977년 공훈예술가

- 1997년 인민예술가

-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 집행위원이며, 국가작품심의위원회 종합심의원​​

 

* 그의 작품은 유화의 표현적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살려 입체성과 공간감을 주고, 대상의 색체와 질감을 예리하게 표현한 것은 미술작품으로서의 직관성과 풍부한 조형미를 돋구어내고 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42쪽 인용)


작품번호 : 1352

작가 : 한태순

제목 : 접선봉

크기 : 88x64

제작 : 1998

가격 : 

 

한태순 (1937 - ) 약력

 

-1937년 평양시에서 출생

-1965년 평양미술대학 출판화과 졸업

-1965-1974년 조선미술가동맹 현역미술가

-1974년 이후 평양미술대학 회화학부 교수로 활동

-1987년 공훈예술가


작품번호 : 1366

작가 : 홍종원

제목 : 부전호반

크기 : 100x72

제작 : 2002

가격 : 

 

홍종원 (1928 - 2004) 약력

-1928년 12월 경기도 인천시에서 출생

-1948년 홍익대학 유채학부 입학​​

-한국전쟁 당시 홍익대학 미술학부에 같은 학생이였던 아내 변옥림과 함께 월북

-2004년 작고

 

* 그는 처녀작 '돌다리자국'을 그려 북한 전승기념관에 전시되는 영광을 얻었고, 현재 김일성 광장에 전시되어 있는 대형 김일성초상화를 그려 북한 최초로 김일성을 형상화하였다.

 

* 그는 국가미술전람회에 수차에 거쳐 출품하여 수상하였으며, 수십 점이 조선미술박물관과 조선력사박물관에 전시/보관되어 있다.

 

* 1993년 9월 북한미술박물관에서 북한 최초로 성대하게 가족미술전람회를 열었다.


조선화 5점

 

작품번호 : 2001

작가 : 강신범

제목 : 고향의추억

크기 : 113x66

제작 : 1999

가격 : 

 

강신범 (1944-2005) 약력

-1944년 서울시 돈암정에서 유명한 원로화가 강호의 맏아들로 출생

-1959~1966년 평양미술대학 전문부와 학부과정을 마쳤다.

-1966~1973년 중앙미술창작사 조선화창작단 미술가

-1974년부터 만수대창작사 조선화단 창작가

-1977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잠복근무를 마치고'로 금메달 수상

-1992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풍년든 동파밭'으로 금메달 수상

-1992년 공훈예술가

-2005년 작고

 

* 강신범은 천성이 고지식하여 창작에서 기교적인 측면을 내세우려 하지 않으며 우연한 성과를 기대하지 않고 섬세하게, 생동감 있게 형상화하였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274-275쪽 인용)


작품번호 : 2030

작가 : 김성호

제목 : 고향여름

크기 : 96x55

제작 : 2000

가격 : 

김성호 (1944- ) 약력

-1944년 평양시에서 출생

-1968년 평양미술대학 졸업.

-1969-1973년 중앙미술창작사에서 유화를 그렸고, 그 후 만수대창작사 조선화창작단에서 조선화를 그렸다.

-그는 국가미술전람회에서 10여점이 입상(금메달과 1~3등) 되었다.

-1989년 공훈예술가 

-1996년 인민예술가 

 

* 김성호는 풍경화에서 추구한 정서는 매우 감성적이다. 그는 주로 아침과 흐린 날 등의 시간적 느낌에서 오는 독특한 정서를 통하여 자연의 미를 부각시키고, 격이 있고 운치가 있는 고상한 형상을 창조하고 있다. 또한 그의 풍경화들에는 짙은 향토적 정서가 깔려있다. (조선력대미술가편람 721쪽 인용)


작품번호 : 2038

작가 : 로선주

제목 : 고향의 봄

크기 : 198x66

제작 : 1997

가격 : 

 

로선주 (1937-1997) 약력

-1937년 남포시에서 출생

-1960년 평양미술대학 조선화학부 졸업

-1967년 이후 남포시 조선미술가동맹 현역미술가

-1974년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에 전시한 미술작품 창작성과로 공훈예술가 칭호를 받았다.

-1985~1992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중앙위원

-1990년 이후 조선미술가동맹 남포시 위원장

 

* 로선주는 인물화보다 풍경화창작에 개성적인 특기가 있다. 그는 바위산들의 형태와 주름을 자기 식의 묘사방법으로 그려내고 있다. 나무들과 특히 정자는 그 누구도 따를수 없는 묘사적 특기를 가지고 있다.(조선력대미술가편람 620-623쪽 인용)

 


작품번호 : 2068

작가 : 리석호

제목 : 고향집

크기 : 59x48

제작 : 1966

가격 : 

 

리석호 (1904-1971) 약력

-號는 일관으로 경기도 안성군에서 서자출신으로 출생하여 학교에 다니지 못했다.

-21세인 1925년에 단신으로 서울에 와서 안중식의 서화협회에 들어갔다.

-1928년 이당 김은호는 자기의 개인화숙에 그를 옮겨놓고 전문적인 지도를 했다.

-1927-1929 선전(鮮展) 서예부 입선

-1934-1944 선전(鮮展) 동양화부 입선 8회

-1950년 조선미술동맹에 가담 후 월북

-1951년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1956년, 1959년, 1960년에 월남과 구소련을 조선문화대표단으로 방문

-1956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국화'로 1등상 수상

-1957년 국가미술전람회에서 '해바라기'로 1등상 수상

-1957년 김일성주석 표창장

-1958년 작품 '청봉'으로 국가미술전람회에서 1등상 수상

-1959-1963 조선미술가동맹 조선화분과 위원장

-1971년 작고


작품번호 : 2095

작가 : 방학주

제목 : 봄맞이춤

크기 : 52x119

제작 : 1996

가격 : 

 

 

방학주 (1943 - ) 약력

 

-1943년 함경북도 청진시에서 출생

-1956-1960 함경북도 도미술가동맹 야간미술연구소에서 그림을 배웠다.

-1968년 평양미술대학 출판화학부를 졸업

-1968-1987년까지 함경북도 미술창작사에서 활동하였고,

-1987년 이후 평양에서 활동하고 있다.

-1992년 공훈예술가

-1995년 인민예술가

 

* 그는 부드럽고 섬세한 수법으로 그림을 수예품처럼 우아하고 아름답게 형상화 하고, 특히 인물화와 풍경화에 뛰어난 재능을 가진 미술가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 그의 작품 '참대숲'은 남한/해외에서 인기가 높다.(조선력대미술가편람 710-711쪽 인용)